美·中·英 “전기·수소차 인프라 확충” 팔걷고 나섰다
기사입력 2021.04.09. 오후 12:01
美, 전기차가 부양책 최대 수혜
中‘5조’·英‘461억’지원 계획
韓도 세제혜택 연장 등 검토중
세계 자동차 업계의 친환경차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각국의 전기차 및 수소전기차 투자·지원 대결도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미국, 중국, 영국 등은 정부가 직접 관련 분야 지원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한국 정부도 ‘2025년 친환경차 중심 국가’ 구현을 목표로 관련 산업 육성에 나섰다.
9일 자동차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조 바이든 정부 인프라 확충 및 경기부양책의 최대 수혜 분야가 전기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약 1740억 달러(약 194조 원)의 정부 지원금이 전기차 관련 분야에 배정될 예정이다. 전기차 관련 인센티브도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전기차 한 대당 최대 7500달러의 세제 혜택이 제공되고 있다. 미국 자동차업체와 부품업체, 전미자동차노조(UAW)는 세금공제 및 재정적 인센티브 제공 등 ‘포괄적 EV(전기차) 지원책’을 요구하는 공동 청원을 냈다.
중국 자동차업체 창청치처(長城汽車)는 수소 관련 연구·개발(R&D)에 3년간 30억 위안(약 5111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수소전기차 집중 지원 정책이 자리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10개 지역을 선정해 2023년까지 수소차 보급 및 인프라 확충을 위해 총 340억 위안(5조7830억 원)을 지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2030년 내연기관차 신차 판매 중단을 선언한 영국 정부는 최근 전기차 공급망, 전기차 배터리 기술 및 수소전기차 분야에 3000만 파운드(약 461억 원)를 지원하는 계획을 내놨다.
국내에선 정부가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을 통해 대대적인 인프라 지원에 착수했다. 2025년까지 친환경차 283만 대를 보급한다는 목표 아래, 전기차 충전기를 50만 기 이상으로 늘리고, 수소 충전소 450기를 구축할 방침이다. 올해로 만료되는 친환경차 세제 혜택 연장도 적극 검토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신규 R&D 과제 지원 279억 원 가운데 134억 원(48%)을 전기차 및 수소전기차 핵심부품 개발 지원에 집중하기로 했다.
김성훈 기자 tarant@munh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