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美 인프라 투자 '기후변화' 초점…韓에너지기업 수혜"
    Investment 2021. 4. 1. 15:06

    기사입력 2021.04.01. 오전 9:13


     

    바이든 행정부, 2조달러 규모 인프라 정책안 발표
    탄소감축, 친환경에너지 투자 등 정책 전반에 등장
    "의회 통과 허들있지만, 친환경 정책 사회적 지지有"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조 바이든 행정부가 발표한 2조달러 규모의 인프라 정책안으로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재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1일 “바이든 행정부는 기후 변화를 최대 문제점으로 규정, 탄소 감축 및 친환경에너지 투자에 대한 내용이 정책안 전반에서 등장했다”며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업 중에서 미국에 공급 중인 업체들은 친환경에너지 수요 확대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전망”이라고 전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31일(현지시간) 2조달러(약 2260조원) 규모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주요 투자 부문에는 △교통 인프라 재건·개선 6210억달러 △상수도 인프라 개선 1110억달러 △전력 인프라 활성화 1000억달러 △주택 공급·개조 2130억달러 △연구개발(R&D) 및 기술 투자 1800억달러 △미국 제조부문 재활성화 3000억달러 등이 포함됐다.

    한화투자증권은 이번 계획안을 계기로 친환경발전원 설치 확대에 대한 정책적 기반이 강화될 것으로 봤다. 이 연구원은 “△전력 인프라 개선을 위해 20GW 고전압 전력선 설치에 대한 투자세액공제(ITC) 도입과 민간투자 활성화 △친환경에너지 발전·저장에 대한 ITC, 생산세액공제(PTC10년 연장 △분산형전원, 주거용·상업·공공 건물 에너지 효율 개조 부문에서의 민간 투자 유도 위한 270억달러 마중물 투자안 등을 눈여겨 봐야 한다”고 짚었다.

    전력 인프라 투자는 기존 석탄화력 중심 발전을 친환경에너지 중심 발전의 패러다임 변화로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노후한 전력 송전망이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의 걸림돌로 작용해왔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특히 분산형전원과 건물 에너지 효율성 개선 투자가 확대된다면 태양광 및 연료전지 설비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재생에너지 발전·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대한 세액공제(ITCPTC10년 연장안은 디벨로퍼들에게 재생에너지 설치에 대한 강력한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태양광 ITC 비율은 26%이며, 풍력발전 PTC 비율은 60%(18 달러/MWh) 수준이다.

    또 신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전원으로 전기차 충전소에 보급되는 전력을 충당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 연구원은 “전기차 시장 1740억달러 투자 및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기(EV charger) 50만 대 설치안도 제시됐다”며 “미국 탄소배출량 중 운송 부문(28%)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전기차 보급 확대를 통해 탄소 배출량 감축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번 인프라 투자 계획안이 의회에서 통과되기 전까지 허들은 존재하겠지만, 친환경 관련 정책 기조가 전반적으로 사회적 지지를 얻고 있다는 점을 짚었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친환경 에너지 법안들이 상정되고, 최근 텍사스 한파와 산불 등으로 미국 내 기후변화 대응에 관심이 커진 영향이다.

    이에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업 중에서 미국에 공급 중인 업체들은 친환경에너지 수요 확대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정책 발표 이후 미국 내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충전 업체 관련 주가가 상승한 점도 짚었다.

    이 연구원은 “미국 인페이스 에너지(ENPH)는 7.68%, 선파워(SPWR) 6.12%, 블룸에너지 7.09%, 차지포인트(CHPT) 18.88% 등 상승세를 보였다”며 “미국 내에 투자를 진행하는 업체나 미국 내 수요처가 확실한 업체들 씨에스, 윈드, 3현대일렉트릭)은 직접적인 수혜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은정 (lejj@edaily.co.kr)

    댓글